GILBUT Publisher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GILBUT Publishers

메뉴 리스트

  • HOME
  • ADMIN
  • TAGS
  • 전체보기 (226)
    • 생활 매뉴얼 (78)
      • 요리 (12)
      • 재테크 (62)
      • 디자인 (4)
    • 직장 매뉴얼 (83)
      • 디자인 (32)
      • 문서 (25)
      • 회사생활 (26)
    • 여가 매뉴얼 (56)
      • 여행 (36)
      • 사진촬영 (20)
    • 모두의 상식 (3)
    • 정리 (6)

검색 레이어

GILBUT Publisher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부동산계약

  • [부동산 상식사전] (9) 사고 없이 일사천리로 잔금 치르는 요령

    2015.02.26 by 길벗 출판사

  • 전세, 월세 계약서 쓰기 |부동산 상식

    2015.02.25 by 길벗 출판사

  • 전세 월세 계약시 확인사항│건축물대장

    2015.02.25 by 길벗 출판사

  • 전세집, 월세집 보러 다닐 때 체크리스트

    2015.02.24 by 길벗 출판사

[부동산 상식사전] (9) 사고 없이 일사천리로 잔금 치르는 요령

(9) 사고 없이 일사천리로 잔금 치르는 요령 계약을 한 집으로 이사하려면 먼저 잔금을 치러야 합니다. 금액이 적은 전세나 월세는 일반적으로 중도금을 생략하기 때문에 잔금만 치르면 됩니다. 잔금을 치러야 집 열쇠를 받을 수 있고, 그때 비로소 그 집에 들어갈 권리를 갖게 됩니다. 그런데 잔금을 치르는 요령이 없어서 잔금 받을 사람과 다툼이 일어나거나 사고가 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잔금 치르기 2 ~ 3일 전에 잔금 받을 사람과 통화하기 잔금을 치르기 전에 잔금 받을 사람과 통화해서 잔금을 현찰로 준비할 것인지, 아니면 인터넷뱅킹이나 모바일뱅킹, 텔레뱅킹으로 보낼 것인지를 미리 정해 놓아야 차질 없이 잔금을 치를 수 있습니다. 잔금 치르는 날이 휴일이라면 그전에 미리 잔금을 준비해야 인터넷뱅킹이나 모..

정리 2015. 2. 26. 11:30

전세, 월세 계약서 쓰기 |부동산 상식

학생이나 직장인 또는 신혼부부가 부모님과 함께 살던 집을 떠나 세를 얻을 때는 혼자서 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처음으로 전 · 월세 계약서를 작성하는 초보자를 위해 계약하러 갈 때 챙겨가야 할 준비물과 계약서 작성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계약하러 갈 때 준비물 세입자 : 도장,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집주인 : 도장, 주민등록증 만약 집주인이 도장을 가지고 나오지 않았다면 어떻게 할까요? 지장(손도장)을 찍으면 됩니다. 지장보다 도장을 더 믿을 수 있다고 하는 사람도 있으나, 위조가 가능한 도장보다 지문이 남는 지장이 오히려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완전한 계약서가 되기 위해서는 서명이 필요하므로, 계약서를 컴퓨터로 작성해서 출력한다 하더라도 집주인과 세입자의 이름은 계약서에 직접 손으로 적..

생활 매뉴얼/재테크 2015. 2. 25. 12:00

전세 월세 계약시 확인사항│건축물대장

전· 월세 계약을 할 때 자신이 세를 얻는 집이 아파트, 연립, 빌라라면 집의 호수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안 그러면 나중에 살고 있는 집이 경매에 넘어갈 경우, 실제와 다르게 기록된 집에 세를 얻은 것으로 되어 보증금을 한 푼도 받을 수 없습니다. 건축물대장에 기록된 동 · 호수가 맞는지 확인 K씨는 집의 반절 정도가 지하에 묻힌 반지하 빌라가 가격도 싸고 마음에 들어 계약하고 약 1년 정도 살았습니다. 그러다 어느 날 갑자기 보증금을 돌려줄 수 없다는 말과 함께 생판 모르는 사람한테서 집을 비워달라는 통보를 받았습니다. 그 말을 듣고 K씨는 어안이 벙벙했지만, 그것은 꿈이 아니라 현실이었습니다. 1년 전, K씨는 자신이 계약한 집이 절반은 지하에 묻혀 있으므로 당연히 B01호라..

생활 매뉴얼/재테크 2015. 2. 25. 11:30

전세집, 월세집 보러 다닐 때 체크리스트

세 얻어 살 집을 찾으려고 집을 보러 다닐 때는 일반적으로 집 안의 구조가 어떠한지, 물이 샌 흔적은 없는지, 곰팡이는 없는지, 방향은 어느 쪽인지 등을 눈으로 대충 봅니다. 이렇게 하루에 대여섯 집을 보고 나면 어느집에 물이 샌 흔적이 있었는지, 방향이 어느 쪽이었는지 등이 서로 헷갈리기 시작합니다.이러한 상태에서 중개업자의 독촉에 따라 지금까지 본 집들 중에서 막연히 괜찮았다고 생각되는 집을 하나 골라 계약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삿날 잔금을 치르고 이사를 합니다. 어림짐작으로 집 고르면 나중에 곤욕 치를 수 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옆집 지하에 있는 양말공장의 실외기 소리가 밤마다 크게 들려서 잠을 잘 수 없다든지, 근처에 고물상이 있어서 파리, 모기는 물론이고 고약한 냄새가 진동해 더운 여름..

생활 매뉴얼/재테크 2015. 2. 24. 14:2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길벗
GILBUT Publishers 공식 티스토리 계정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