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1,500~1,800만원 (실수령액 115만원~135만원)
3년 내 3천만원 모으기
지금부터 월급의 70%는 내 돈이 아니라고 생각하자. 연봉이 낮은 사회초년생의 경우 은행에서 제공하는 특별금리를 받을 수도 있다. 은행을 방문해서 조금이라도 금리를 더 받을 수 있거나 비과세가 되는 적금상품을 알아보자.
연봉 2천만원대 (실수령액 150만원~220만원)
4년 내 5천만원 모으기
선저축 후지출을 기본으로 실천하며 짠돌이 생활을 습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쓰고 남은 돈을 저축하려고 마음먹으면 돈 모으기가 쉽지 않다. 월급이 들어오면 먼저 100만원은 저축하고 여윳돈이 생기면 추가로 저축해야 한다.
연봉 3천만원대(실수령액 230만원~290만원)
3년 내 7천만원 모으기
각 통장마다 이름을 지어보자. ‘내집마련을 위한 통장’, ‘여행을 위한 통장’, ‘자기계발을 위한 통장’ 저축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매달 160만원을 나눠서 관리하다 보면 3년안에 약 7천만원의 목표를 이룰 수 있다.
연봉 4천만원대(실수령액 290만원~350만원)
3년 내 1억원 모으기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 이곳저곳 돈 쓰고 싶은 일이 많겠지만 꾹 참아보자. 월 저축액 250만원을 목표로 약 3년을 노력한다면 꿈에 그리던 1억원을 모을 수 있다. 은행을 자주 드나들며 내게 맞는 상품들을 찾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연봉 5천만원 이상 (실수령액 350만원 이상)
4년 내 2억원 모으기
마음만 먹으면 돈을 쉽게 모을 수 있지만 방심하면 어마어마한 마이너스가 날 수도 있는 연봉이다. 이럴 때일수록 현명한 소비가 필요하다. 씀씀이를 줄이는게 우선이다. 4년 안에 2억원 모으기를 목표로 해보자.
연봉이 인상될수록 더 절약하라! 없으면 없는 대로 살아지니!
얼핏 계산해 보면, 위의 연봉별 저축목표액은 과연 가능한 것일까? 국내 최대 재테크 카페인 짠돌이카페의 VVIP회원이자 재테크 서적 『짠테크 전성시대』의 저자 중 한 사람인 parklee 님이 공개한 노하우 세 가지를 더하면 이 글을 읽는 월급쟁이들도 가능한 금액이다.
월급에서 고정적으로 나가는 지출금액을 빼고 남은 금액을 30으로 나누면 하루 생활비가 나온다.
월급 250만원 - 40만원 (핸드폰, 교통비 , 점심값 등 고정지출) - 120만원 (적금, 예금, 펀드 등 고정저축) = 90만원(한 달 생활비) ∴ 90만원을 30일동안 나눠 쓰면 하루 생활비는 3만원 |
어떠한 지출이라도 이렇게 하루 생활비 범위를 절대 넘기지 않겠다는 생각으로 생활하다 보면 아끼는 습관이 저절로 생긴다. 어제 아낀 금액은 통장에 넣는다.
회사에서 예산을 세울 때, 경기가 나빠질 것을 가정해 예산을 10%를 절감하는 것처럼 생활비를 아예 10%를 깎아놓고 1월을 맞이한다. 회사 예산이 10% 줄었다고 월급까지 10% 줄지는 않는다. 오히려 연차가 높아짐에 따라 월급이 조금씩 올라가므로 저축액은 오히려 높아진다. 10%씩 생활비 감액이 어렵다면 해마다 발표되는 물가상승률만큼이라도 생활비 예산을 줄여보는 방법도 좋다.
수입의 80%를 저축한다고 생각하고 1년 만기 상품 3~5개를 가입해 보자. 기준금리가 연 1%대로 낮아진 상황이어서 서민들이 저축 이자로 기쁨을 맛보기는 어려운 상황이긴 하지만 애써 모은 돈을 안전하게 투자할 뾰족한 방법이 없다면 저축이 답이다. 이자를 받겠다는 것보다 애써 모은 원금이 도망가지 않게 잘 가둬두었다고 생각하면 마음도 편하고 든든하다.
짠테크 전성시대
|
모바일 적금상품 은행별 상품 비교 (0) | 2015.11.12 |
---|---|
가계부 쓰는법 | 11가지 노하우로 직장인 돈모으기 (2) | 2015.11.11 |
직장인 재테크 방법 | 급여명세서 파악하기 (2) | 2015.11.09 |
채무 때문에 상속포기한 유산, 채권자들이 대신 받아낼 수 있을까? (0) | 2015.10.20 |
이혼한 배우자의 재산을 상속했을 때의 상속세는? 이혼 권장하는 상속세법? (0) | 2015.10.19 |
댓글 영역